bnw인베, 포스뱅크 회수 착착…투자 성과는 

bnw인베, 포스뱅크 회수 착착…투자 성과는 

222억원 현금화, 원금 ‘3배’
매도 제한 물량 외 엑시트 마무리
1호 블라인드 펀드 수익↑ 기대

2024-04-02 09:13

사모펀드(PEF) 운용사 bnw인베스트먼트(이하 bnw)가 포트폴리오 기업 포스뱅크의 투자금 회수(엑시트)에 속도를 내고 있다. 포스뱅크 상장 후 2개월이 경과한 시점에 투자 원금의 3배 이상의 수익을 거뒀다.

2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bnw는 포스뱅크 지분을 처분해 총 222억원을 현금화했다. 상장 직후와 락업(의무보유) 기간 종료에 맞춰 장내매도로 회수한 자금은 125억원이다. 지난달 말에는 시가 대비 일부 할인율을 적용해 장외에서 총 97억원어치 지분을 정리했다. 포스뱅크 상장 직전 22%였던 지분율은 이달 4.6%로 낮아졌다.

bnw의 투자 원금을 감안하면 3년 만에 200% 이상 수익률을 달성했다. 2021년 bnw는 포스뱅크의 42억원어치 구주, 28억원 규모 전환상환우선주(RCPS)를 인수하며 총 70억원을 투자했다. 투자 재원은 IBK기업은행과 공동 운용 형태로 설립한 1호 블라인드 펀드(IBK-BNW 기술금융 PEF)에서 마련했다.

포스뱅크는 PC에 카드 리더, 바코드 리더 등을 장착한 POS(Point Of Sales, 판매시점 정보 관리기기), 무인 주문기 형태 키오스크(KIOSK) 개발과 제조에 특화된 기업이다. 주요 POS 기기는 맥도날드, 써브웨이 등 글로벌 프랜차이즈 업체에도 제공 중이다. 연 매출액의 70% 이상이 해외 고객에서 나오는 수출 주도형 기업이다.

bnw는 포스뱅크의 잔여 지분 4.6%를 감안하면 일부 수익 확대도 가능하다. 지분 매입 단가는 1주에 4000원이며 현재 시가는 1만3000원대를 기록 중이다. 포스뱅크 지배주주인 은동욱 대표에 제공한 콜옵션 물량을 제외하면 이달 말부터 8만6901주가량은 자유롭게 처분할 수 있다. 콜옵션에 따른 예상 회수액은 14억원, 매도 가능 물량의 지분 가치는 약 12억원을 나타낸다.

포스뱅크 회수가 마무리 수순을 밟으면서 bnw의 1호 블라인드 펀드의 잔여 포트폴리오는 2~3건을 기록 중이다. 청산 전이지만 이미 출자자에 투자 원금 이상의 배분이 이뤄졌다. 그동안 기업공개(IPO)로 엑시트에 성공한 곳은 제이오, 네패스아크, 성일하이텍, 청담글로벌, WCP 등이 있다.

올해 bnw는 신규 투자에 집중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펀드레이징을 시작한 3호 블라인드 펀드는 지난달 클로징에 성공했다. bnw가 처음 선보이는 단독 블라인드 펀드로 약정 총액은 4900억원에 달한다. 조달 규모가 1500억원이던 1호 블라인드 펀드와 비교하면 3배 이상 몸집을 키웠다. 실탄을 채운 만큼 바이아웃(경영권 인수) 투자에 적극 나설 전망이다.

https://news.heraldcorp.com/view.php?ud=20240402050113

Leave a Reply